이번엔 네이버부동산 어플로 매물 보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부동산은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어플 중 하나일 겁니다. 매물 확인, 시세 확인, 실거래가 확인 등 기본적인 시세파악부터 지적편집도, 위성사진 등 다양한 기능까지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네이버부동산의 각 기능을 어떻게 활용해 매물을 볼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네이버부동산 매물 시세확인
네이버부동산에서 '매물'로 들어가시면 지도와 함께 매물의 위치, 가격, 평형 등이 나옵니다. 여기서 검색창에 원하는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명등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네이버부동산에선 주거형 물건은 물론 분양권, 재건축, 오피스텔, 상가, 공장, 토지 등 다양한 부동산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매매·임대와 같이 거래방식 별로 검색할 수도 있으며 가격대, 면적, 사용승인일, 세대수 별로 볼 수도 있습니다. '상세매물검색'을 클릭하면 층수와 방 개수, 남향·북향 등 방향, 융자금여부 등 까지 검색반경을 축약해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단지정보, 학군정보, 매물 사진까지
검색을 통해 알아보길 원하는 부동산을 클릭하시면(아파트의 경우) 단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아파트 단지 총 세대수가 몇 명인지, 매물 층은 몇 층인지, 사용승인일은 언제이며 주차대수는 얼마인지, 용적률과 건폐율, 난방여부와 관리사무소 연락처까지 나옵니다.
학군정보도 알 수 있는데요. 해당 매물로부터 가장 가까운 학교의 주소와 전화번호, 교원수와 학생수까지 나타내줍니다. 학교까지의 거리와 도보로 걸리는 시간도 나타내주어 초등학교의 경우 학부모들이 내 아이의 통학에 걸리는 시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놓았습니다. 이에 더해 매물 내부사진은 물론 외관과 현관 및 주차장, 커뮤니티시설 사진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세 및 실거래가
네이버부동산에서 가장 많이 확인하는 게 바로 시세와 실거래가일 겁니다. 현재 부동산이 내놓은 매물과 호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과거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사이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실거래가까지 네이버부동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분양권은 검색 안 되는 경우가 많아 국토교통부실거래가 가셔서 확인해야 합니다.)
실거래가는 평형별로 매매, 전세, 월세로 나뉘어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나있으며 과거 연도까지 한 번에 설정할 수 있어 그동안의 가격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거래가 언제, 얼마에 이루어졌는지 그래프에 점으로 찍혀 나오기 때문에 시세뿐만 아니라 거래량이 얼마나 되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점이 다다다다 많이 찍혀 있으면 그 기간에 거래가 많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해당 점에 마우스를 대 보면 해당 매물 거래일과 거래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적편집도와 개발탭
이외에도 네이버부동산엔 지적편집도와 '개발'탭 같은 유용한 기능이 있습니다. 지적편집도는 해당 토지가 어떤 목적의 토지인지 나타내주는 건데요. 클릭해보시면 토지가 색깔별로 구분되어 몇 종 주거지역, 상업지역, 자연녹지지역, 공업지역 등 토지의 용도지역을 나타내줍니다.
'개발'탭을 클릭하시면 예정된 개발내용까지 알 수 있는데요. 어떤 지역이 개발 예정인지, 이 지역에 어떤 철도와 지하철이 들어설 예정인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확정된 교통 호재같은 경우 '2027년 예정' 등과 같이 준공 예정일도 나타내주고, 몇km 구간에 몇 개소의 역사가 생기는지도 볼 수 있어 뉴스로 쏟아지는 호재가 실제 여부인지 등도 체크하기가 좋습니다.
'부동산 기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지인으로 아파트 수요, 공급 쉽게 확인하는 법 (0) | 2022.03.19 |
---|---|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어플 아실 (0) | 2022.03.18 |
부동산 어플 호갱노노 사용법 (0) | 2022.03.16 |
용도별 부동산 어플 모음 (0) | 2022.03.14 |
부동산 임장 뜻이 뭘까? (0) | 2022.03.13 |